전체 글 27

Edge Case and Corner Case

리그레션 테스트를 진행하는 도중에 간헐적으로 생기는 에러가 있었다. 같은 조건 그리고 다른 모든 케이스로 재현해봐도 같은 에러가 생기진 않고.. 아주 가끔 발생했다. Data sync 문제라 예상하고 백로그에 Defeat Story를 만들어 담당자에게 할당했다. 개발자가 스킴하곤 엣지 케이스 갔다고 다음 스프린트 때 처리하자고 했다. 그래서 엣지 케이스? 그게 뭐지 알아봤고 정리해두고자 한다. Edge Case: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 엣지 케이스는 작동 매개변수의 극단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사용자는 엣지 케이스를 거의 경험할 수 없다. 앱이나 웹 사이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흔한 엣지케이스들이 있다.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의 충돌, 페이지 로드의 지연 그리고 오디오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모든 사..

QA 2023.06.20

그루밍, 스파이크 그리고 액션아이템 (feat. 르세라핌)

계속되는 스프린트에 무뎌지던 요즘, 레트로를 하는데 우리 팀의 그루밍에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많이 나왔다. 그루밍 세션은 백로그를 체계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때 모든 팀원의 지식이 Sync up되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 한 명이라도 이해하지 못하면 차후 스프린트에서 그 만큼의 시간이 지연된다. 45분에서 1시간 정도로 진행된다고 하나, 한참 프로덕션에서 진행중인 우리팀 경우에는 2시간 동안 진행하기도 한다. 그루밍 세션 동안 크게 아래 4가지 일이 진행된다. 1. 업무량에 따라 User Story를 나눈다. 2. 각 User Story를 논의하여 팀원이 같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3. 각 User Story가 Definition of Ready를 충족하는지 확인하고, 모자라다..

Study/agile 2023.06.20

Array List 그리고 Linked List

List: 순서o 중복o Set: 순서x 중복x 리스트 관련 동작들: insert/ delete/ read/ empty/ count etc. 장점 - tail에 insert/ delete가 O(1)으로 빠르다. - index를 알고있다면 read가 O(1)으로 빠르다. → 항목 접근 속도가 빠르고 일정하다. 단점 - head에 insert/ delete가 O(n)으로 느리다. → 삽입/ 삭제가 복잡하다. - 크기 고정으로 인해 사용 전 배열 크기 지정을 해야한다. - 메모리를 한 덩어리로 차지하므로 배열 크기가 클 경우, 배열 전체를 위한 메모리를 할당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 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로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 Singly Lin..

Study/algorithm 2023.05.12

API testing guidelines

오늘은 QA 매니저님이 API testing guidelines 미팅을 해주셨다. User story에 있는 AC와 관계없이 API 테스트를 진행한다면 무조건 해당 사항 테스트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했다. API 테스트는 middleware 테스트여서 관련해서 end-to-end 테스트를 원한다면 따로 인터페이스를 연동하여 진행해야 한다. 아래의 과정에서 버그 발견하면 해당 user story에 highlight 해놓는다. 1. Happy scenario testing 진행 2. Payload 파악 -> value가 optional인지 mandatory인지 파악해야한다. 3. Negative scenario testing 진행 -> 예상한 error 반응이 나오는지 3-1. GET: url data, he..

QA 2023.04.05

Smoke Testing vs Regression Testing

스모크 테스팅? 리그레션 테스팅? 계속해서 말하고 스프린트에 등장하고 나도 그걸 돕는 거 같은데.. 이론적으로 정확히 알고 싶어서 검색하고 있었는데.. QA팀장님이 뒤에서 보더니 그걸 왜 검색하냐고 여기 전문가들이 있는데 하면서 설명해주셨다. Smoke Testing: SW를 stage로 올리기 전 진행하는 high-level test이다. Smoke testing 통과 후 여러 다른 테스트를 수행한다. 다른 테스트 전에도 진행 할 수 있지만 보통은 빌드 전, Smoke test -> Regression Test 종료 후 stage로 올려 UX단의 테스트도 마친 후 빌드한다. 이 단계에서는 중요 기능이 잘 작동하는 지, TCL(Test Case List)에서 poor requirement만 추려 ene-..

QA 2023.04.03

Dry run and Demo... in 미국회사 (+Documentaion)

Demo: 데모란, 시연 및 시범을 뜻한다. 프로그램과 같은 기술적인 시연도 이에 포함된다.Dry run: 드라이런은 군대에서 유래된 용어로, 실탄을 사용하지 않는 전투 연습에서 모의 테스트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학교 팀프로젝트나 동아리 활동에서 항상 데모가 있긴 있었는데.. 회사에서 데모의 중요성을 더욱 느끼고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다. 현재 인턴 중인 회사는 탄탄한 플라스틱 제조 회사로 기존 고객을 타겟으로 IT 솔루션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우리 회사의 솔루션에 관심있는 회사를 위해 종종 데모를 진행하는데, 여러 사람이 거의 일주일 동안 한 회사를 위해 준비하는 것 같다. 그 데모를 위해 드라이런을 3회 이상 진행하고.. 그 드라이런 전에는 각 회사에 알맞게 컴포넌트를 수정하고 하드코딩을 해놓은다...

Review 2023.03.30

Production Environments

회사에서 테스트를 하다보면 테스트할 branch를 불러와서 도커로 띄어야 하는데 이때 어느 환경에 있는 걸 띄우는지.. 또는 상사가 가끔 지금 어디 환경에 있는거 다운 받아서 ui테스트 하는 건지 물어본다. 그래서 한 번쯤 확실하게 정리해 두면 좋을 거란 생각을 했다. 조대협님이 정리를 너무 잘해주셔서 해당 블로그를 보고 많이 배우고 요약해보았다. local env: 각자 개발자 pc에 개발 및 테스트 환경이 셋업되어 있어야 하며, 설치된 서버 환경을 local 환경이라고 한다. local 환경 구축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모든 개발자가 같은 개발 환경을 사용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체 개발 환경을 zip 파일의 형태로 묶어서 사용하는 방법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dev env: 개발 환경..

QA 2023.03.28

머신러닝 분류 모델 성능 평가 지표

요즘 인턴하는 회사에서 신사업 외주 맡긴 건을 맡아서 성능 분석하고 있다. 합의하의 시나리오를 짜서 외주 모델을 검증하고 있는데 간만에 본 SPO님한테 한 요청이왔다. 나는 항상 분석을 해서 주마다 해당 개발팀장님에게 넘겨주었는데, 팀장님이 내가 준 자료를 그대로 들고가서 회의에 참가했다고 한다. 헌데 비지니스 그룹에선 이해하기 힘들다는 이야기였다. 그래서 SPO님이 먼저 해당 신사업 진행을 결정 할 수 있는 숫자를 요청했다. 그때 머신러닝 시간때 배운 평가 지표가 생각나서 작성해서 드렸다. 작성하면서, 한 번 기록해놓으면 나중에 찾아볼 때 좋을 것 같아 이렇게 글을 적는다. Confusion Matrix Actual 1 0 Expected 1 True Positive False Positive 0 Fa..

QA 2023.03.27